직장인3 실업급여 수급신청 #1 근로자 직접 이직확인서 제출 & 고용복지센터 방문 (왜 나에게 이런 시련이...) 실업급여 수급신청 실업급여에 필요한 준비는 보통은 퇴사 시 회사에서 모두 처리를 해줍니다. 하지만! 이직확인서는 달라요. 근로자가 직접 전회사에 요청 해야합니다.퇴사할 때 회사에서 고용보험 상실 신고는 알아서 해주지만 이직확인서는 반드시 근로자가 받아와야 함..^^ 네모 박스 안에 이직사유 구분코드가 나와있고, 이직사유 구분코드가 비자발적 퇴사와 관련되어야 합니다. 12번 : 회사 사정으로 인한 휴업22번 : 폐업, 도산23번 : 회사 경영 상 인원감축 (권고사직)32번 : 계약기간 만료 (계약 종료) 참고로 11번 코드가 찍히면, 개인 사정에 의한 자발적 퇴사로서 수급받을 수 없습니다그래서 실업급여 이직 확인서 상에 있는 이직 사유를 꼭 체크해야 합니다 또한, 원칙적으로 회사 측에서 직원의 퇴사와 .. 2025. 3. 2. 2025년 실업급여 조건 / 실업급여 지급기간 / 실업급여 신청기한 (고용보험, 계약직, 180일, 권고사직) 실업급여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① 18개월간 180일 이상 근무 (단, 통산이므로 이직 무관)② 비자발적 퇴사일 것 요새 경기가 많이 안 좋죠. 주변에 실직하게 되신 분들도 많아진 듯 합니다. 이에 따라 실업급여 신청에 대한 관심도 높은데요 요새 부정수급이 많아져 개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만, 다행히 2025 실업급여 조건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실업급여는 엄밀히 말하면 구직급여이며, 형식적인 것을 제외하고, 반드시 아래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지급됩니다1. 실업급여 조건 ① 18개월간 180일 이상 근무 (단, 통산이므로 이직 무관)② 비자발적 퇴사일것 위의 2가지 조건만 충족시킨다면 직장인, 알바, 시간제 근로자 등 상관없이, 그 누구든 구직급여 수급이 됩니다 1. 근속기간 조건 (180일).. 2025. 3. 1. 사회초년생 마인드 - 1. 끝이라고 생각할 때가 곧 시작이다. INFP / 20대 후반 / 계약직친구 0명 / 방황 중직장도 불안하고, 미래가 불안한 느낌이 드시나요? 아직 할 줄 아는 게 없는데 어른이 되어버린 것 같은 자신이 낯설기만 한가요?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고 먼 훗날 제 자신에게, 이 티스토리가 자그마한 길잡이가 됐으면 하는 마음에 글을 쓰게 됐습니다 이 글을 미래의 제 자신과 저의 또래 친구들에게 선물합니다. 사회초년생일 때 가장 불안한 건 뭘까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편적으로는 다음과 같겠죠 1. 경제적 불안- 첫 월급을 받을 때 생활비, 저축, 투자 등을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막막합니다- 월세, 대출, 보험 등 경제적으로 책임져야 할 것들이 늘어납니다 2. 직장 생활, 사회 적응- 사회 적응, 눈치를 많이 보게 됨 3. 미래에 대한 불안- 5.. 2025. 2.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