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실업급여 수급신청 #1 근로자 직접 이직확인서 제출 & 고용복지센터 방문 (왜 나에게 이런 시련이...)

by 미니오레오 2025. 3. 2.
실업급여 수급신청

 

 

실업급여에 필요한 준비는 보통은 퇴사 시 회사에서 모두 처리를 해줍니다.

 

하지만! 이직확인서는 달라요. 근로자가 직접 전회사에 요청 해야합니다.

퇴사할 때 회사에서 고용보험 상실 신고는 알아서 해주지만 이직확인서 반드시 근로자가 받아와야 함..^^

이직확인서

 

네모 박스 안에 이직사유 구분코드가 나와있고, 직사유 구분코드 비자발적 퇴사와 관련되어야 합니다.

 

12번 : 회사 사정으로 인한 휴업

22번 : 폐업, 도산

23번 : 회사 경영 상 인원감축 (권고사직)

32번 : 계약기간 만료 (계약 종료)

 

참고로 11번 코드가 찍히면, 개인 사정에 의한 자발적 퇴사로서 수급받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실업급여 이직 확인서 상에 있는 이직 사유를 꼭 체크해야 합니다

 

 

또한, 원칙적으로 회사 측에서 직원의 퇴사와 함께 이직 확인서를 발급해주고 고용복지센터에 제출해줘야 합니다

즉, 발급과 제출 모두 회사를 통해서 하는 것이 원칙이죠.

 

하지만 바쁘다는 핑계로 ^.^ 혹은 데면데면한 사이가 되어 차일피일 미루는 경우가 있는데

 

그떈 근로자가 직접 회사에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을 해야합니다. (고용 노동부로 요청 넣어도 소용 없음)

 

회사가 발급 안 해주는 경우,
> 근로자가 회사로 이직확인서 요청

 

이직확인서 발급 과정

 

실업급여 수급 전 과정

①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이직확인서 발급 요청 (근로자 > 사업주)

② 사업주가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이직확인서 제출 (사업주 > 고용복지센터)

③ 퇴직자가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 (퇴직자 > 고용복지센터)

④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퇴직자의 실업급여 수급자격을 판단 (고용복지센터 > 퇴직자)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확인서 발급 요청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확인서 발급을 요청할 때 쓰는 양식이 있습니다. (by. 고용노동부)

이걸 회사 측으로 발송하시면 됩니다.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양식 (출처 : 고용노동부)

사업주는 고용24를 통해 확인서를 제출하고, 구직급여신청을 해야합니다.

공단에서는 확인서를 보면서 이직사유 코드를 확인하고 그동안의 급여 및 고용보험 납입 내역을 확인하죠.

아래 첨부하였습니다. 이 양식을 채운 뒤 회사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서식은 심플하네요. 이직자(요청인) 정보를 쓰고 이직사업장 (회사 명) 그리고 이직일을 써서 회사 측으로 발송하면 됩니다

 

그러면 사업주측에서 사업장 확인란을 채워 이직자에게 다시 회신합니다.

 

 

 

① 회사 측으로 발급요청 보내고 10일 경과해도 회사에서 응답이 없다면 고용센터의 도움을 받으세요~!

 

이직확인서 처리 완료 확인하기

고용보험 > 개인서비스 >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 조회에서 확인가능 🔗 https://www.ei.go.kr/ei/eih/cm/hm/main.do

 

고용24_개인

 

m.work24.go.kr

 

 

② 또한 이직확인서 발급은 반드시 고용보험 상실신고가 우선 선행되어야 가능하니 꼭 확인해주세요!

 

고용보험 상실 신고 완료 확인하기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 사업장 피보험자격신고현황에서 확인가능 🔗https://total.comwel.or.kr/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comwel.or.kr

 

③ 만약 고의적으로 회사측에서 11번 (개인사유)을 퇴사사유를 기입한 경우

아주 가끔 회사에서 권고사직이나 해고를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구분코드 11번으로 이직사유를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급여 수급이 되지 않죠

 

만약 실제 팩트가 권고사직이나 계약 해지였다면 고용센터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고용센터에서 회사측으로 연락해서 진위 파악 후 시정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④ 만약 회사에서 직접 고용센터에 제출하지 않고 PDF 파일만 넘겼다? (직접 근로자가 고용센터에 제출해야하는 상황)

너무 겁먹지 마세요! 굉장히 쉽고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근로자가 직접 이직확인서 제출하는 방법

모바일팩스라는 앱을 이용하면 팩스기 없이도 팩스를 보낼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dho.mobilefax&hl=ko&gl=US&pli=1

🔗iOS : https://apps.apple.com/kr/app/%EB%AA%A8%EB%B0%94%EC%9D%BC%ED%8C%A9%EC%8A%A4-i/id1487591338

  

1. 가입 : 필수 항목만 동의 후, 원하는 팩스번호 선택하면 가입 끝!

 

2. 회사를 관할하는 고용복지플러스 센터로 팩스를 보내야 하는데 ?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홈페이지(회사 관할) > 부서 및 직원 소개 > 이직 확인서를 처리하는 직원의 팩스번호가 나와있습니다. 그 번호로 보내면 됩니다

 

실업급여 신청 방법

수급자격 온라인 신청방법은 위와 같습니다.

간단히 적자면, 고용보험 상실·이직확인서 처리 완료 👉 워크넷 구직신청 👉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 수급자격신청서 인터넷 제출...까지 완료한 후 관할 고용복지센터를 방문해 실업급여를 신청하면 됩니다.

 

만약 내일배움카드를 만든 분이라면 워크넷 구직신청이 이미 마친 상태이므로 패스하셔도 됩니다

👉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실업급여란 세번째에 위치한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클릭!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주의사항

교육 종료 후 14일 이내에 센터에 꼭 방문(신분증 필수 지참)하셔서 수급신청 하셔야 합니다.

(미 방문 시, 이수하신 교육은 소멸됩니다.)

교육 시작 후 7일 이내에 수료하지 않으시면 다시 처음부터 수강하셔야 합니다.

실업급여 신청 시, 반드시 워크넷에 구직신청을 하셔야 합니다.(동영상 마지막 페이지 참고)

실업급여와 관련된 내용이기도 하고, 신청방법도 굉장히 자세하게 알려줘서 집중해서 수강하면 좋아요.

👉 수급자격 신청서 온라인 제출

'재취업을 위한 약속'에 동의하고, 신청서의 빈칸을 채워넣으면 됩니다.

그리고 하다보면 막히는 부분이 생기는데요.

상실코드 45번? 이게 무슨말일까요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지제6호의2서식

상실코드 45번은 <노무제공플랫폼을 이용한 노무제공 종료에 따른 이직>이라고 나와있습니다.

고용보험 상실신고서를 보고 상실사유에 45번이라고 나와있지 않으면

<상실코드 45번 아님>으로 체크하고 신청하면 됩니다

아무튼, 빈칸을 모두 채워넣고 신청서를 제출하면 방문예정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관할 고용센터의 정책에 맞게 예정일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관할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방문 > 실업급여 수급신청

마지막으로 관할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해 신청을 완료하면 됩니다

준비물은 신분증! 그리고 본인 계좌번호 (메모해서 들고가기)

방문 이후 1차 실업인정일 전까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도 실업인정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용센터에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고 함!

단, 인터넷으로 실업인정을 하지 못했다면 당일 정해진 시간에 고용센터에 방문해 교육을 들어야합니다

 

내용이 유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_ _)

 

2025년 실업급여 조건 / 실업급여 지급기간 

다음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5년 실업급여 조건 / 실업급여 지급기간 / 실업급여 신청 마감기한 (고용보험, 계약직, 180일, 권

실업급여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① 18개월간 180일 이상 근무 (단, 통산이므로 이직 무관)② 비자발적 퇴사일 것 요새 경기가 많이 안 좋죠. 주변에 실직하게 되신 분들도 많아진 듯 합니다. 이에

devhyunlog.tistory.com